남성욱 행정전문대학원 교수·통일융합연구원장

 

  2001년 9·11 테러를 조사한 미국 의회 진상조사 보고서는 정보당국이 기습공격을 저지시킬 수 있는 기회가 10번이나 있었다고 결론 내렸다. 뉴욕의 무역센터 쌍둥이 빌딩과 국방부 건물을 공격하여 3000여 명의 인명 피해를 발생시켰던 항공기 자살테러 사건을 막을 수 있는 사전 징후를 정보당국들이 여러 차례 놓쳤다는 것이다. 국가안전보장국(NSA)은 테러 발생 9개월 전에 항로를 답사하기 위해 쿠알라룸푸르를 방문한 테러 분자 3명의 통화를 감청하였으나 각 정보기관에 전파하지 않았다. 중앙정보국(CIA)은 6개월 전에 태국으로부터 테러범이 LA행 비행기에 탑승했다는 정보를 연방수사국(FBI)과 공유하지 않았다. FBI는 미심쩍은 이슬람 비행 훈련생을 조사하지 않고 단순 추방하여 용의자 추적에 실패하였다.

  요컨대, 통합된 정보공유체제의 미작동으로 미국 본토는 전대미문의 테러 참사를 당했다. 9·11 테러는 정보기관의 사전 경고 실패로 인한 정보실패(Intelligence Failure) 유형이다. 정보 실패의 사례는 부지기수다. 1941년 제2차 대전 당시 일본의 진주만 공격, 1973년 이집트의 이스라엘 기습작전인 욤 키푸르 전쟁이 있으며 1990년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 등도 국가정보학 교과서에서 케이스 스터디로 다루어진다.

  정보실패를 국가정보학이라는 학문적 견지에서 들여다보는 것은 하마스의 이스라엘 기습공격 때문이다. 이스라엘 정보기관이 첨단 ICT 시대에 어떻게 인근에 있는 하마스의 침공 계획을 놓칠 수 있었는지는 여전히 미스터리다. 가자지구 병원 폭격에 관해 하마스의 통화를 감청해서 실시간으로 공개하는 모사드(Mossad)인데 2년간 준비해 온 공격 첩보를 입수하지 못한 원인 분석은 불가피하다.

  필자는 최근 1년 동안 뉴욕타임스 국제면에 이스라엘 네타냐후 총리 관련 기사가 빈번하게 보도되는 것을 유심히 지켜봤다. 미국 하버드에서 박사과정까지 수학하고 귀국하여 1988년 국회의원에 당선된 후 2022년부터 세 번째 총리직을 수행한 그가 강경 극우 정책을 추진하지만, 재임 기간 부패 혐의로 기소되고 총리 퇴진 시위가 있었다는 부정적인 뉴스도 심심찮게 나왔다. 심지어 네타냐후 총리의 사법부 무력화 정책이 그의 부패 혐의에 대한 ‘방탄용 입법’이라는 용어까지 등장했다.

  외부에 있는 적은 눈에 보이지만 내부의 적은 가늠하기 어려웠다. 유대인 공동체의 본산인 텔아비브 내부에서 터져 나오는 파열음을 극단주의 무장세력 하마스가 놓치지 않았다. 첨단 AI 기술에 의한 영상정보(IMINT)와 감청 등 신호정보(SIGINT)를 피하기 위해 역설적으로 땅굴 메트로 작전을 전개했다. 대외적으로는 철저한 위장 평화전술을 구사하여 이스라엘의 의심을 풀게 하였다. 모사드뿐만 아니라 국내정보기관인 신베트(Shin Bet), 군(軍) 정보기관인 아만(Aman)의 창끝을 무디게 하였다.

  아마도 이스라엘의 3대 정보기관은 하마스의 공격 가능성을 총리실에 보고했을 것이다. 하지만 빈번한 공격 가능성 경보에 무덤덤해지는 ‘늑대소년효과’와 함께 국내정치의 분열에 따른 정보당국의 보고 혼란이 치명적이었다. 정보력과 군사력을 과신하는 오류가 발생하였고 방심과 자만심이 국내정치의 분열과 연계되었다.

  북한의 기습공격은 하마스의 이스라엘 공격 못지않다. 기습공격의 질과 양적 측면에서 한반도는 중동에 버금간다. 1999년과 월드컵이 한창이던 2002년 1·2차 연평해전, 2010년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 등 예측 불가의 공격은 부지기수다. 40km 북측 지점에 적의 방사포 1000 문이 수도권을 겨냥하고 있다. 하마스의 공격 거리와 크게 다르지 않다. 피해는 이스라엘과는 규모가 다를 것이다. 텔아비브의 국내정치 분열에 따른 정보실패에서 배워야 할 교훈은 분명하다. 국가정보기관인 국가정보원은 물론 군과 경찰 등 부문 정보기관들이 정보의 정치화 현상에 휘둘리지 않고 전문 역량을 발휘하도록 정치권이 종합정보 시스템을 구축해 주어야 한다. 우리가 이스라엘판 9·11 테러에서 새겨야 할 징비록이다.

 

남성욱 행정전문대학원 교수·통일융합연구원장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