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중순에 몰아친 태풍 에이니아와 집중호우로 인한 수해지역에서 복구공사가 한창이다. 많은 자원봉사자와 기업, 관공서의 인원이 나서고 있지만, 전국 각지에 깊게 패인 재해의 상처들이 가시지 않고 있다. 더욱이 장마와 태풍의 위험에서 완전히 벗어난 시기도 아니어서, 한여름을 가건물과 피난처에서 보내야 할 수재민들의 근심은 무겁기만 하다.

수재의 홍역을 치를 때마다 정부당국과 여당은 재해 예방을 위한 특단의 대책을 내세운다. 하지만, 매년 5조원에 가까운 예산을 피해복구와 보상비로 쏟아부어도 달라진 모습을 찾아보기는 힘들다. 재해예방에 대한 장기적인 전망과 치밀한 대비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일본은 재해예산의 80%를 예방에 투입하고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우리는 복구에 예산의 60%를 쓴다. 낭비가 아닐 수 없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관계당국은우선  수해지역에 대해 신속한 행정·재정적 지원을 집행하고  수재민 생활을 안정시켜야 한다. 일부 관공서에서 나타나는 보여주기식 복구는 내년의 피해를 예약하는 일과 다름없다. 이와 함께 수재의 원인을 분석해 부실한 안전대책과 피해를 확산시킨 인재의 요소를 점검해 관련자들을 엄중히 문책해야 한다.

올해 미주지역에는 기록적인 열파로 많은 인명피해를 낳았고, 일본도 집중 호우로 큰 피해를 보았다. 이처럼 기상이변의 정도가 심해지면서 자연재해에 대한 정교한 방재정책이 요구된다. 이번 홍수피해의 여파로 다목적 댐 추가건설이 제기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홍수 예방 및 용수공급효과와 댐 건설에 수반된 환경 파괴와 기후변화에 대해 신중한 분석이 필요하다. 무분별한 개발과 산림훼손으로 피해가 커진 것을 감안한다면 지속가능한 개발을 해나가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