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석규 이후 한동안 부재중이었지만, 동심어린 해맑음으로 또 다른 ‘순수청년’의 아이콘으로 급부상한 조승우의 캐스팅과 자폐아 열연은 영화 <말아톤>의 성공을 일찌감치 예견했다. 영화 속 간간히 뿌려진 초원이의 좌충우돌 에피소드가 흥행대박의 촉매 역할을 톡톡히 했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주인공의 열연과는 상관없이, 한 사람의 일대기 혹은 인생 역정 극복기를 담은 영화에의 몰입은 태생적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국적인 풍광, 생경한 캐릭터가 시선을 끌지만 공감대 형성이 어렵고 무엇보다 이미 공공연히 정해진 텍스트에 어쩌면 가장 큰 즐거움의 원천이라 할 수 있는 관람객이 만들고 이어나가는 의미 재생산 영역을 찾기 힘들다는 것.

그러나 이 영화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부분은 극 중 조승우의 연기와 자신의 즐거움을 찾은 초원이가 아니라, 즐거움을 찾게 된 과정에 있다. 이 과정의 한 가운데는 억척스러운 초원이의 어머니가 있다. 주변의 모든 것들과 소원해진 채 불편한 아들을 위한다며 달리기를 강요하고 달리기에 모든 것을 걸었던 그녀. 언뜻 더 좋은 영어 발음을 위해 아이를 수술대 위에 올린, 뜨거운 자식 사랑이란 미명하에 모든 부작용들을 무마하려는 한국 어머니의 그림자를 보는 것 같지만 초원이 어머니의 이런 ‘극성’이 아니었다면 초원이는 그렇게 좋아하던 초코파이를 버리고 ‘말아톤’을 즐길 수 있었을까?

영화 속에서도 보이지만 정신 지체아들의 재활 교육은, 주체적인 사고가 어렵다는 이유로 일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아이의 특성은 도외시 된 채 ‘일괄적 공장 단순 조업만이 살 길’이라 권해지고 있는 현실. 장애아 전담 교육기관에서도 아이가 다른 사회적 구성원들과 자연스레 어울릴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다양한 모색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 속에서 초원이 어머니의 극성은 사회의 무관심에 대한 당연한 귀결이라 볼 수 있다. 

양승준 (언론학부 02)

  ▲ 2월 28일 영화 <말아톤> 시사회에 함께한 쿠키닷컴 회원들.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