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전공이 최근 현재 대학가의 대세로 부상하고 있다. 이같은 이중전공의 실효를 높이기 위해 성균관대는 이중전공 이수 학생들이 원할 경우 제 2전공만으로도 졸업증명서를 발급하고 있다. 이런 제도를 시행하는 이유 중 하나는 학생들이 취업에 유리한 학과를 이중전공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중전공을 신청시 학생들이 ‘취업’을 고려하는 것은 비단 성균관대 학생들만의 모습이 아니다. 지난해 1학기 이중전공을 신청한 학생들이 가장 많이 몰린 학과는 경영학과(358명)와 경제학과(287명)였다. 또 본교는 서창에서 안암으로의 이중전공을 허용해, 많은 서창 학생들이 안암으로 이중전공을 신청하고 있다.

본교가 성균관대와 같은 제도를 시행하지 않는다고 비판하는 것은 옳지 않았다. 제2전공이 의무화되기 전까지는 말이다. 성균관대에서 시행하는 제도에 대해 학교측의 의견을 들었다. “제1전공과 제2전공의 구분은 반드시 필요하다. 어렵게 공부해 들어온 학생들이 자신이 속한 학과에서 누릴 수 있는 ‘권리’를 보장받아야 하지 않느냐”고 답했다. 풀이하면 ‘점수가 높은’ 학과에 입학한 학생들을 이외의 학생들과 동급으로 놓을 수는 없다는 뜻이다.

제2전공을 의무화 했다면 그 효과가 최대화되도록 뒷받침돼야 한다. 그것은 학생들에게 제2전공 의무화를 부과한 학교의 의무다. 지난해 본지에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50%가 넘는 본교생들이 ‘제 1전공과 제 2전공 간 구분은 불필요하다’고 답했다.

오는 24일로 다가온 이중전공 신청에서도 많은 서창 학생들이 안암으로 이중전공을 신청할 것이다. 제2전공 의무화로 학생들의 ‘자율적인 선택권’을 빼앗았다면 그에 따른 책임도 져야 한다.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