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문제없다’는 주장이 들려온다. 이명박 정부 들어 우리가 뉴스를 통해 가장 많이 접하는 이야기다.

모두가 문제라고 말해도 정부는 당당하다. ‘문제의 중심에서 문제없음을 외치는 꼴’이랄까. 이쯤 되면 지긋지긋한 ‘선진국’의 사례도 등장한다. “선진국은 법치주의를 확립해서…”, “선진국의 어떤 제도가 이렇기 때문에…”. 며칠 뒤 잘못이 명확해지면 침울한 표정으로 이렇게 말한다. “몰랐습니다. 죄송합니다. 사퇴하겠습니다”

반면 진보 세력에게서는 ‘문제있다’는 말만 들려온다.

오늘과 같은 현실에서 문제를 지적하고 좀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것이 이들의 역할이겠지만 요즘은 모든 현상, 사건을 그들이 주장하고자 하는 ‘문제’에 부합하도록 해석하려는 것은 아닌가하는 우려가 든다. 얼마 전 고인이 된 본교 중퇴생 정 모 학우의 이야기가 그 예다.

고인의 죽음에는 물론 어려운 경제 사정도 한 축을 담당했겠지만 해당 사건에 대한 조사는 ‘현재진행형’이다. 무엇이 죽음에까지 이르게 한 것인지에 대한 답변을 아무도 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등록금 때문에 사람이 죽었다’는 식의 주장은 사건을 확대해석에 불과하다. 고인의 죽음을 진정으로 애도한다면 사건의 정황이 좀 더 명확해지길 기다리자. 사회 문제와 연계된 집회와 기자회견은 그 이후에 진행해도 늦지 않다. 그전엔 ‘사회의 희생자 정 씨’가 아닌 우리와 함께 대학을 다니고 같은 이야기를 공유한 선배로, 후배로, 동기로 기억하고 추모하자. 그것이 진정 고인을 위한 길이다.

이명박 정부는 문제 있음을 인정하고, 진보 세력은 좀 더 신중한 자세로 사회를 바라보자. 그게 ‘제대로 된’ 정부고, ‘진짜’ 진보를 위한 자세일 것이다.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