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신문 2030호 2면 ‘대학 LEET 대비 강의, “문제 풀이보다 사고력 향상 도와야”’ 기사를 접하고 적잖은 충격을 받았다. 법학적성시험(LEET) 응시자가 1만7000명을 넘자 대학들이 LEET 대비 강의를 속속 개설하고 있다는 내용이다. 심지어 강의 시간에 시험 기출문제 풀이를 진행한다고 한다. 우리 학교뿐만 아니라 성균관대·홍익대 등에도 이런 강의가 개설돼 있다는 점도 놀라웠다.

  ‘학생 수요에 부응한다’는 명분은 일견 타당해 보인다. 하지만 이런 논리라면 대학에 수능 대비 강의도 가능하다. 대학에 다니며 수능에 재도전하는 ‘반수생’은 7만~9만 명에 이른다고 한다. 학생 수요가 있다면, 대학이 수능 강의까지 열지 말란 법이 없다. 시장 논리가 교육의 판단 기준이 되는 순간, 대학의 정체성은 흔들릴 수밖에 없다.

  물론 대학이 학생의 진로를 지원하는 것은 필요하다. 이전에도 관련 특강을 개설하고, 고시반을 운영하는 등의 지원이 존재했다. 변호사·회계사·공무원 등 취업자 숫자가 대학 경쟁력이 된 지 오래라는 점에서 대학 나름의 고충도 이해 못 하는 것은 아니다. 그렇다고 학점이 부여되는 정규 강의에서 시험 문제 풀이를 진행하는 것이 정당화될 수는 없다. 대학은 학원이 아니기 때문이다. LEET의 목적이 단순한 지식 평가가 아니라 사고력 검증이라면, 대학은 그 ‘사고력’ 자체를 문제 풀이가 아닌 토론과 탐구를 통해 기르는 데 집중해야 한다.

  이번 기사는 LEET 대비 강의 개설을 비교적 긍정적으로 다뤘다. 강의 내용의 개선 방향을 제시했지만, ‘대학의 학원화 우려’라는 근본 문제의식은 상대적으로 약했다. 문제는 강의 내용이 아니라 대학이 그 강의를 어떤 위치에 두느냐다. 기사에서도 밝혔듯이 “대학의 학원화 우려로 교수자 사이에서도 강좌 개설을 두고 이견이 있다”는 점을 부각했으면 어땠을까 아쉬움이 남는다.

  다만 기사에서 대안으로 제시한 “대학이 보유한 인적 자원을 활용해 현직자와 만날 기회를 제공하는 것도 특화 방법이 될 수 있다”, “학교 정규 과목을 이수하면서 고시에 대비할 수 있는 프리-로스쿨(Pre-Law school) 과정을 마련한다면 독창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런 식의 접근은 나쁘지 않은 것 같다.

 

김원 중앙일보 기자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