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재정
1-1. 모금
- 기금경영본부 신설: 적극적, 체계적 기금투자 모델 개발
- 개교 120주년 기념 모금: 캠퍼스별, 단과대·학부별 특성과 필요에 맞는 자체 모금활동 촉진, 유증기부, 증권·보험·부동산 기부·릴레이 기부 등 선진화된 모금활동 추진, 기부자 소통과 예우 강화
- 정부 보조금 수입 확대
1-2. 수익 및 교육/연구지원 사업
- 대학사업단 사업 확대: 크림슨 스토어, 고대농장, 아이스링크장, 고대빵 등 사업 확대, 국내외 편의점/온라인 유통망 확충
- 교육혁신본부 신설: 글로벌 전주기 생애교육 시스템 디자인해 교육부대수입 확충
- 정원 외 외국인 학생 수 50%까지 확대
- 연구혁신본부 신설: 신규 대형 연구과제 및 산학연구 개발, 개인 및 기관투자자의 고대기술지주회사 투자와 연구 기부 유치
2. 공간
- 중장기 캠퍼스 마스터 플랜 완성: 인문사회관 건축, IT 교양관 준공, 자연계 캠퍼스 종합발전계획 추진 준비
- 학생회관·애기능학생회관 시설 개선
- 연구 공간 확충: 캠퍼스별 공간 및 시설 공유 협력방안 구축, 자연계 공동실험시설 마련
- 주거공간 마련: 기숙사 부지 확보, 인근 지역 주거 공간 매입
3. 교육권
3-1. 강의 콘텐츠
- 디지털인문학 활성화 지원
- 학습추적 시스템 서비스 제공
- 교육 프로그램 초연결 공유 시스템
3-2. 제도 개선
- 온·오프라인 결합 All-Lines 학습 환경 조성
- 유연 강의제 도입
- 무전공 입학제도 도입
- 학부 전공 유연 선택 제도 도입
- 자기맞춤형 전공 지원
- 융합전공과 협동과정 지원
- 학제간 교수 임용 및 대학 소속 교수 제도
3-3. 기타
- 학제간 교수 공동 임용
4. 복지/인사
4-1. 직원
- 교육부의 부적절한 감사와 규제에 문제 제기
- 내부 결제와 절차의 복잡성 개선
4-2. 교원
- 연봉제, 연구업적 평가제 변경
4-3. 학생
- 글로벌 연수 프로그램 Korea University Rookies 프로그램 마련
- 총학생회와 동아리 대표들의 의견 경청
5. 세종캠퍼스
- 분교에서 캠퍼스 지위로 전환
- 매년 6월 말 세종캠에서 전체교수 워크샵 진행
- 학생들 간 상호 교류 프로그램, 공동 협력 프로그램 발굴
- 중입자 가속기 암치료 센터 추진
- 종 본관 신축: 서울캠 본관과 같은 건축양식, 기능의 세종 본관 건축
- 총장의 월 1회 세종캠퍼스 근무
- 세종특별자치시 제3캠퍼스 구축을 서울캠과의 공동 프로젝트로 진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