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재정
1-1. 모금
- 재임 중 총 4200억 원 모금
- 총장 업무 60% 이상 모금 관련에 할당
- 잠재 기부자 발굴: 잠재 기부자층 대면조사 통한 핵심 니즈 파악, 국제 협력 업무를 통한 해외 기부 확대
- 재단형 장학기금 발전
- 계획기부 지원 서비스: 부동산, 주식, 가상화폐, 재단법인 이전 기부자에 대한 법무·세무 지원, 유산기부 모금매뉴얼 재정비
- 개교 120주년 기념 모금 캠페인 추진
- 단과대학 모금 지원: 단과대·학과, 부속기관의 신규 모금 개발과 모금 캠페인 지원
- 피라미드형 기부구조 형성
- KU PRIDE CLUB 활성화
- 연구기금 모금: 기업이 필요로 하는 연구와 교육 프로그램 발굴해 4년간 연구기금 총 840억 모금
- 기부자 예우: 크림슨아너스 클럽 데이와 크림슨마스터즈 콘서트 활성화, 기부자와 학교의 유대 관계 형성
1-2. 수익 및 교육/연구지원 사업
- 평생교육원을 글로벌사회인재교육원으로 확대 개편
- 옴니채널 교육 플랫폼 구축
- 분야별 전문가 과정, 기업체 연계 과정, 위탁 교육 등 전문 교육 프로그램 운영
2. 공간
- 인문사회관 신축, IT교양관 완공 및 교양실험시설 확충, 사이언스컴플렉스 신축 등 조속히 추진
- 학생회관 신축: 개교 120주년 기념 모금 사업 통한 인문사회계, 자연계 캠퍼스 학생회관 신축
- 단과대학별 건축계획 실현 지원
- 기숙사 확충: 학교 주변 원룸, 다가구주택 임차·매입·리모델링·신축해 기숙사 확보
3. 교육권
3-1. 강의 콘텐츠
- 수요자 중심 영어 강의 제도 정착
- 영강 100선 등 영어 강의 개선 정책 지속 추진
- 전공별 1학년 세미나 자율 개선 지원
- 석탑 교양 강좌 100선: 각 학문 분야 권위자가 교양 과목 강의 담당
3-2. 제도 개선
- 교과과정 개편, 교과목 개설 유연화
- 수업형식 유연화: 집중세미나, PBL수업, 교과 평가 방법 변경 등
- 공통교과목에 온라인 형식 활용
- 글로벌 MOOC 참여
- 전공별 자율적 입시 제도 도입
- 융합전공, 설계전공 지원
3-3. 기타
- 디지털 역량 교육 강화: 1인 1 컴퓨터 언어 교육 이수
- 외국인 학생을 위한 ‘글로벌 인재학부’ 신설
- 단과대학 특성에 맞는 비교과 프로그램 지원
- 해외 인턴 프로그램 확충
4. 복지/인사
4-1. 직원
- 집중근무 시간대 설정하고 이외 시간에는 유연근무제 도입
- 부서별 업무 특성 토대로 인원 조정
4-2. 교원
- 공동기기센터 운영 지원
- 초과 강의료 인상
4-3. 학생
- 학습 공간과 휴식 공간 개선
- 민주광장 지하에 소극장 건립해 문화공간으로 활용
5. 세종캠퍼스
- 서울캠과 대등한 특성화 병립캠퍼스로 전환
- 서울캠과 유사하게 본관 신축
- 행정자원 공유: 기부금 모금, 정보인프라 관리, 법률 지원 등의 업무 협조
- 장학기금 확충
- 치과대학, 세종병원 설립
- 세종시의 중입자 가속기 암치료센터 설립과 방사선 의과학융합산업 클러스터 구축 사업 지원
- 제3캠퍼스 서울과 공동 구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