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재정

  1-1. 모금

  - 기금기획본부 부활: 모금 콘텐츠 기획, 관리, 예우, 집행내역 공개 전담해 경상비를 위한 목적성 기금 기부 유도

  - 학교 상징, 유물, 스토리를 주제로 다양한 모금 아이템 개발

 

  1-2. 수익 및 교육/연구지원 사업

   - 공간임대 사업: 화정체육관, 아이스링크장, 인촌기념관 임대사업 활성화

  - 크림슨 스토어 혁신

  - 교육 수익사업 장려: 특수대학원, 계약학과, 영재교육원, 평생교육원, 국제 동·하계 대학을 활성화하고 교육 수익을 교원 인센티브와 단과대 특성화에 사용

  - 해외 유학생 유치

  - 기술사업화 연구원 설립: 교원에게 창업에 전념할 기회 제공해 수익 창출

 

  2. 공간

  - 인문사회관 신축 추진

  - IT교양관 신축 마무리

  - 마이크로 캠퍼스 조성: 임대형식으로 캠퍼스 외에 위치한 건물을 기부받아 활용

  - 공간 효율성 제고: 교육공간 공유와 연구공간 적화 방안에 대한 열린 소통을 통하여 각 단과대학 공간 효율성 향상

  - 기숙사 확충: 지역주민과의 갈등 윈-윈 전략으로 해결해 기숙사 확충

 

  3. 교육권

  3-1. 강의 콘텐츠

  - 영어강의 의무 수강학점 축소

  - 영어강의 수강 인증 발급

  - 교양과목 의무 학점 유연화

  - 코딩교육 확대

  - 경영마인드·과학적 마인드 창의융합형 교양교육 설계

 

  3-2. 제도 개선

  - 온라인 강의(MOOC) 활용 확대

  - 수강신청 통계 검토해 문제점 개시

  - 드롭 제도 개설

  - 2전공 자율화

 

  3-3. 기타

  - 타 대학과의 학점교류 활성화

  - 국제교류 활성화

 

  4. 복지/인사

  4-1. 직원

  - 학교복지기금 이음으로 성과보수금 지급

  - 법적 책임이나 징계로부터 교직원 보호하는 시스템 마련

 

  4-2. 교원

  - 학교복지기금 이음활용해 주거안정 기금 조성

  - 연구비 수주에 따른 인센티브 지급

 

  4-3. 학생

  - 캠퍼스 공간에 휴식 시설, 종교활동 공간 마련

  - 학생식당 시설 및 메뉴 개선

 

  5. 세종캠퍼스

  - 분교 체제에서 캠퍼스 체제로 전환

  - 캠퍼스 간 학생·교직원 교류 통한 동반 성장

  - 치과대학, 수의과대학 유치

  - 학생회관 및 과학기술1관 후면동 리모델링

  - 동문 앞 공간 민간유치 개발

  - 세종캠 설립 50주년 기념 모금 및 1000억 규모 기금 마련 지원

  - 세종시 공동캠퍼스 조성을 서울캠과의 유기적 협력으로 진행: 부지 매입비용, 건물 신축 비용 등에 범 고대 차원으로 지원, 공동캠퍼스에 서울·세종 공동 특성화 학과 설립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