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재정
1-1. 모금
- 기금기획본부 부활: 모금 콘텐츠 기획, 관리, 예우, 집행내역 공개 전담해 경상비를 위한 목적성 기금 기부 유도
- 학교 상징, 유물, 스토리를 주제로 다양한 모금 아이템 개발
1-2. 수익 및 교육/연구지원 사업
- 공간임대 사업: 화정체육관, 아이스링크장, 인촌기념관 임대사업 활성화
- 크림슨 스토어 혁신
- 교육 수익사업 장려: 특수대학원, 계약학과, 영재교육원, 평생교육원, 국제 동·하계 대학을 활성화하고 교육 수익을 교원 인센티브와 단과대 특성화에 사용
- 해외 유학생 유치
- 기술사업화 연구원 설립: 교원에게 창업에 전념할 기회 제공해 수익 창출
2. 공간
- 인문사회관 신축 추진
- IT교양관 신축 마무리
- 마이크로 캠퍼스 조성: 임대형식으로 캠퍼스 외에 위치한 건물을 기부받아 활용
- 공간 효율성 제고: 교육공간 공유와 연구공간 적화 방안에 대한 열린 소통을 통하여 각 단과대학 공간 효율성 향상
- 기숙사 확충: 지역주민과의 갈등 윈-윈 전략으로 해결해 기숙사 확충
3. 교육권
3-1. 강의 콘텐츠
- 영어강의 의무 수강학점 축소
- 영어강의 수강 인증 발급
- 교양과목 의무 학점 유연화
- 코딩교육 확대
- 경영마인드·과학적 마인드 창의융합형 교양교육 설계
3-2. 제도 개선
- 온라인 강의(MOOC) 활용 확대
- 수강신청 통계 검토해 문제점 개시
- 드롭 제도 개설
- 제2전공 자율화
3-3. 기타
- 타 대학과의 학점교류 활성화
- 국제교류 활성화
4. 복지/인사
4-1. 직원
- 학교복지기금 ‘이음’으로 성과보수금 지급
- 법적 책임이나 징계로부터 교직원 보호하는 시스템 마련
4-2. 교원
- 학교복지기금 ‘이음’ 활용해 주거안정 기금 조성
- 연구비 수주에 따른 인센티브 지급
4-3. 학생
- 캠퍼스 공간에 휴식 시설, 종교활동 공간 마련
- 학생식당 시설 및 메뉴 개선
5. 세종캠퍼스
- 분교 체제에서 캠퍼스 체제로 전환
- 캠퍼스 간 학생·교직원 교류 통한 동반 성장
- 치과대학, 수의과대학 유치
- 학생회관 및 과학기술1관 후면동 리모델링
- 동문 앞 공간 민간유치 개발
- 세종캠 설립 50주년 기념 모금 및 1000억 규모 기금 마련 지원
- 세종시 공동캠퍼스 조성을 서울캠과의 유기적 협력으로 진행: 부지 매입비용, 건물 신축 비용 등에 범 고대 차원으로 지원, 공동캠퍼스에 서울·세종 공동 특성화 학과 설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