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재정
1-1. 모금
- 개교 120주년 기념 모금: 캠퍼스별, 단과대·학부별 특성과 필요에 맞는 자체 모금활동 촉진, 유증기부, 증권·보험·부동산 기부·릴레이 기부 등 선진화된 모금활동 추진, 기부자 소통과 예우 강화
- 정부 재정지원예산 적극 유치
1-2. 수익 및 교육/연구지원 사업
- 부속기관 경쟁력 제고: 국제어학원, 평생교육원, 영재교육원, 출판문화원, 고대농장, 박물관, 세종 국제교류교육원, 세종 평생교육원 등 부속기관 대외 경쟁력 강화해 재정 확충에 활용
- 생애주기별 교육과정 마련: 비학위과정 수강료 수입 통해 재정 확충
- 우수 외국인 학생 유치: 정원 외 외국인 재학생 등록금과 수강료 수입 극대화
- 대형 산학연관 연구 프로젝트 수주: 연구비 수주액 대폭 확대 및 계약학과 적극 유치
- 교원·재학생 창업활동 적극 지원: 창업초기 투자지분 매각해 재원 확보
- 기술이전 적극 지원: 산업별 연구개발 결과 중 기술이전 가능한 아이템 발굴해 기술이전 수익 극대화
2. 공간
- 문과대·정경대 건물 신축
- 120주년 기념 자연계 광장 조성: 공과대학 앞 주차장 부지에 지하 3개층, 지상 5개층 편의시설 및 연구공간 마련
- IT교양관 신축 조기 완료
- 구로병원 첨단의학관 건축, 새롬연구동 및 본관 건물 재건축
- 안산병원 암병원, 병원기반 산학연 융복합의학센터 신축
3. 교육권
3-1. 강의 콘텐츠
- 단과대별 영어강의 비중 및 영어강의의무 면제과목 지정
- 외국인 학생 전용 영어강의 확대
3-2. 제도 개선
- 메타버스형 교육플랫폼 구축
- 학부생이 직접 설계해 수강하는 온라인 강좌 개설
- 복수 수업 지식 융합해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Class Paring 과목 개설
- 수강 bidding 시스템 구축: 수강희망 과목에 배정한 점수에 따라 수강 우선순위 부여
3-3. 기타
- 학부, 대학원 대기업연계교육프로그램(계약학과 등) 개설 확대
- 산학 간 팀티칭 강화
- 학부 신입생 대상 멘토링 수업 ‘융합형 공동체 리더십’ 필수과목 지정
4. 복지/인사
4-1. 직원
- 단과대학·학부 행정 자율성 강화
- 직원 인사고과제도 공정성 및 투명성 강화
4-2. 교원
- 연구·교육 마일리지 제도 도입
4-3. 학생
- 취업률 제고를 위한 단과대별 맞춤형 전략 수립
- 장애인 및 소외계층을 위한 연구, 교육, 학습 여건 개선
5. 세종캠퍼스
- 캠퍼스 간 균형발전 위원회 신설: 이원화캠퍼스 지위 전환, 캠퍼스 간 협력 네트워크 구축 및 행정시스템 개선 촉진
- 세종캠퍼스 자체 모금 기능 활성화
- 캠퍼스 간 교육, 연구 협업 기회 대폭 확충
- 치과대학, 수의과대학 유치 추진
- 의학연구소 설립
- 진행 중인 세종행정복합도시 창조캠퍼스 조성 적극 지원
